메나리토리: 회귀의 극장

메나리토리: 회귀의 극장
정성아
SungA Jung
muui9105@naver.com
@hamtochi_808
우리의 삶이 아주 오래된 신화를 따라 반복되고 있다. 마치 동일한 각본을 가진 채, 배우만 바뀌어 재연되는 극처럼 말이다. 무당이 되어 당금애기의 삶을 되풀이하는 할머니의 자매들, 신이 된 조상들과 현재의 중축이 되는 그들의 사건. 우리 삶의 원형이 되는 고대의 서사들. 이러한 믿음을 바탕으로, 신화와 겹쳐 보이는 현재의 순간을 연극의 한 장면처럼 연출해 보고자 한다.
<메나리토리: 회귀의 극장>은 밧줄로 연결된 회화와 황마로 짜인 무대막으로 구성된다. 극적인 대비와 하이라이트, 납작한 구도와 배경은 이것이 하나의 연극 무대임을 암시한다. 회화 속 요소들은 각자의 오래된 상징을 담으면서도 현재의 경험과 맞물려 교차한다.
후예后羿 전설에 등장하는 열 개의 태양은 가로 4미터의 너비로 그려져 과보夸父의 장면을 유도하고, 부르델의 헤라클레스는 이웃한 벽에 놓인 <장승의 머리>를 겨냥하며 우로보로스의 구조를 띤다.
<비가비>와 <장승의 머리>는 연극의 소품인지, 배우인지 모를 애매한 위상으로 이러한 신화적 공간 앞에 존재한다. 동떨어진 벽에 걸린 <장승의 머리>는 반복되는 서사 구조 속에서 우리가 차지할 위치에 관해 묻는다. 배경에 완전히 흡수되지 않은 채, 공중에 매달린 <비가비>는 현대적 존재가 신화적 지위에 도달할 가능성을 가늠하며, “우리는 언제쯤 신화가 될 수 있을까?”라는 질문을 던진다.